| KBCH NEWS 2 |

합성생물학에 대한 연구·산업화 및 규제 동향을 한눈에 정리 
합성생물학 및 적용 산물 규제·관리 정책

전망보고서 개정판 발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센터장 김기철, 이하 KBCH)가 합성생물학 및 적용 산물 규제·관리 정책 전망보고서 개정판을 발간했다. KBCH는 지난 2022년 합성생물학 적용 생물체에 대한 국내 유전자변형생물체 관련 규제 정책 전망보고서를 작성했으며, 24년 12월 합성생물학에 대한 연구·산업화 및 규제 신규 동향을 담은 개정판을 발간했다.

빠르게 발전하는 합성생물학에 발맞춘 개정판


이번 개정판의 발간은 합성생물학의 급속한 발전이 주된 이유로 작용했다. 유전체 기반 기술의 발전과 데이터 축적으로 합성생물학의 패러다임이 기존 유전체 해독(읽기)에서 유전체 합성(쓰기)로 변모했고 AI를 활용한 생명시스템의 설계(Design)-제작(Build)-시험(Test)-학습(Learn) 의 자동화로 인한 바이오산업 혁신 가속화도 영향을 주었다. 여기에 합성생물학을 비롯한 바이오신기술의 발전이 가져온 기대와 우려는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안전관리를 맡은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합성생물학 적용 생물체에 대한 안전관리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논의하게 했다.

합성생물학은 생명공학, 생화학공학, 유전체학, 정보기술 등을 결합하여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생명체 구성요소와 시스템을 설계하고 합성하거나, 자연계에 존재하는 생명체를 재설계하고 합성하는 분야이다. OECD, 세계경제포럼 등 국제사회에서 생명공학 분야를 리드하고 있는 국가들은 합성생물학의 가치를 인정하고 있고 바이오분야 경쟁에서 뒤쳐져 있는 국가들에게는 새로운 기회로 인식되고 있다. 이처럼 합성생물학은 바이오 전(全) 분야의 4차 산업혁명을 촉진하고 주도할 것으로 기대 중이며 우리나라 역시 합성생물학 연구개발 분야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개정된 내용은?


KBCH는 유전자변형생물체 안전관리 관련 민관 협력체계를 운영하는 기관으로 합성생물학과 관련한 안전관리, 합성생물학 적용 산물의 이익공유 및 지식재산권, 그리고 합성생물학 기술이나 산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피해에 대한 책임과 구제에 대한 규제 등에 필요성을 바탕으로 지난 2022년 보고서를 작성했다. 개정판에서는 합성생물학의 국제적 논의 추세를 바탕으로 합성생물학 적용 산물 중 유전자변형생물체법의 적용대상 여부를 명확히 했다. 이외에도 24년 10월 콜롬비아 칼리에서 개최된 제16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와 제11차 카르타헤나의정서 당사국회의의 합성생물학 규제 논의, 합성생물학 연구· 개발 및 산업화 동향 현행화, 국내외 규제 논의 등도 함께 다루었다. 합성생물학 및 적용 산물 규제·관리 정책 전망보고서 개정판은 GMO정보포털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TEL 042-879-8318   |   FAX 042-879-8309

COPYRIGHT(C) 2022 BY KBCH.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