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CH SHORTS |
2022년 대국민 LMO 인식조사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방안 도출  


글    |  윤지현,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과 수요 증가에 따른 국민의 인식 변화도 진행 중입니다. 2022년 대국민 LMO 인식조사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방안 도출에 관한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윤지현 연구원의 KBCH브리핑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주요 조사 결과 및 브리핑 자료는 GMO 정보포털(www.biosafety.or.kr) KBCH 브리핑과 LMO현황(인식현황) 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2 대국민 LMO 인식 조사, 무엇을 물어봤을까?

- LMO 인지도 및 이해정도, 관련용어 인지도

- 유전자변형기술 활용 동의 정도, 규제, 영향성 등 태도

- LMO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 및 관련법령 인지 여부

- GM식품 및 GMO표시제에 대한 인지 및 태도

- LMO 정보접촉 실태 및 인식변화 여부

- LMO 주요 이슈, 정보획득 및 규제에 대한 태도 등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는 대국민 LMO 인식조사를 진행했다. 전국 19-64세 성인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번 조사는 LMO에 대한 인식과 태도, 지식수준을 비롯해 LMO 관련 이슈에 대한 인지 등을 조사했으며, 그 결과를 LMO 관련 정책 및 홍보 전략 수립에 활용하고 있다.

 

LMO에 대한 국민의 인식  


LMO에 대한 인지율은 81.8%, 2020년과 비교해 소폭 감소한 수준이다. 응답자의 64.4%가 ‘약간 알고 있다’로 응답해 이해 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LMO 관련 용어는 유전자변형식품(69.3%), GMO(53.5%), 유전자변형생물체(44.8%) 순으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LMO에 대한 지식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된 생명공학 관련 문항은 평균 정답률 5.7개(전체 문항수 14개)를 기록해 지난 2020년(평균 정답률 6개)과 큰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LMO에 대한 인식은 다소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유전자변형기술이 도움이 된다’고 답한 비율은 73.1%로 2020년 대비 3.5% 하락했다. 난치병 치료와 식량문제에 기여할 것이라는 의견과 함께 자연 생태계에 대한 영향과 인체 안전성에 대한 의문도 조사 결과 드러났다. LMO 규제에 대해선 세대 간의 견해 차이가 드러나기도 했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규제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낀 반면, 20대는 유전자변형기술이 인류에 혜택을 주는 기술이라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다. 


LMO에 대한 관심 수준은 지난 조사와 비슷한 수준이다. ‘안전성에 대한 의문 때문’이라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올해는 ‘환경에 대한 관심 때문’이라는 응답 비율이 지난 조사 대비 11.6%나 상승하기도 했다. 지난 조사와 비교해 ‘유전자가위기술’에 대한 인지도가 6.6% 상승한 44.5%를 기록한 것도 주목할 점이다. 특히 유전자가위기술에 대한 규제 정도를 묻는 질문에서는 “모두 규제해야 한다”라는 응답이 2020년 대비 6.4% 하락한 47.5%를 기록했다는 점에서도 유전자가위기술과 GMO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변화 중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커뮤니케이션 방안은?


LMO라는 용어를 전면에 내세운 조사임에도 관련 용어 인지도에서는 유전자변형식품(69.3%), GMO(53.5%), 유전자변형생물체(44.8%) 등이 더 높은 순위를 기록하면서, 생명공학 관련 국민소통에서는 대중적인 용어 사용이 국민과의 소통을 위한 적절한 방향이라 판단된다.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나 유전자변형작물 수입 등 조사를 통해 확인된 우려 요소를 해소할 수 있는 지속적인 콘텐츠 개발과 확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유전자변형식품 구입 의향에 대한 조사가 처음 이뤄지기도 했다. 구입 의향이 가장 높았던 콩(42.3%)부터 가장 낮았던 도미(20.3%)에 이르기까지 구매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분석은 물론, 연령이 낮을수록 구매의향의 높았던 결과를 고려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필요하다.


전체적으로 LMO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은 높아졌으나,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은 크게 해소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관련해 LMO에 대한 믿음과 관심을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 평소 LMO를 관심 있게 지켜본 국민을 위한 깊이 있는 정보 전달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겠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TEL 042-879-8318   |   FAX 042-879-8309

COPYRIGHT(C) 2022 BY KBCH.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