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이하 KBCH)는 GMO 및 바이오신기술에 대한 정보 수집과 제공, 교류 등 다양한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특히 그 중 교육과 홍보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지난 여름 바이오 기술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의미 깊은 질문이 KBCH에 도착했다. 이에 KBCH는 온라인 멘토링을 통해 GMO와 바이오산업에 대한 학생들의 궁금증을 해소해주기로 결정, 질문을 보낸 학생들과 질문의 답변을 해줄 생명공학연구원이 온라인 상에서 모였다.
이번 온라인 멘토링은 이메일을 통한 제주 한림고등학교 학생들의 질문에서 시작됐다. 몇 번의 질문과 답변을 거치면서 GMO와 바이오 기술에 대한 학생들의 지식 수준과 질문의 깊이가 향상되었고, 이에 충분한 답변을 제공하고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시스템공학연구센터의 이효준 박사가 온라인 멘토링에 함께 했다.
학생들의 질문에 앞서, 이효준 박사는 유전자, DNA와 같은 생명공학에 대한 간단한 용어와 개념 설명으로 먼저 진행해 학생들의 쉬운 이해를 도왔다. 이어 학생들의 가장 큰 궁금증이었던 ‘아그로테리움’과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에 대한 설명을 시작했다.
이효준 박사는 과거 아그로박테리움이 유전자변형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나, 최근에는 유전자가위 기술이 등장하면서 생물 이용 및 연구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는 설명은 물론, 새로운 성질을 이끌어내기 좋은 아그로박테리움의 특징과 정확한 타게팅 그리고 적은 부작용을 지니는 크리스퍼의 특징도 알기 쉽게 정리했다.
이어 유전자가위와 GMO의 관계에 대해서도 이야기 했는데, DNA의 삽입 유무라는 결정적 차이가 있기 때문에 유전자가위는 GMO가 아니라는 설명과 함께 현재 진행 중인 논쟁(LMO법 개정안과 유전자가위 기술)상황도 소개했다. 또한 GMO에 대한 시민들의 부정적인 의견도 언급하며 아그로박테리움으로 만든 유전자변형생물체에 대한 관리는 철저해야 하지만, 유전자가위의 경우는 그 위험도가 적으며, 유전자가위 정도의 변화율은 자연계에서도 늘상 발생하는 일반적연 돌연변이 수준의 것이라 덧붙였다.